
패션디자인학과
장소영 교수
임금님도 바카라 꽁 머니 앞에선 한낱 집사일 뿐
바카라 꽁 머니는 개와 함께 대표적인 반려동물로 오래전부터 사람과 함께 생활해 왔다. 1인 가구의 증가, 저출산·고령화, 코로나19 팬데믹 등 사회구조와 환경의 변화로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더불어 반려동물 관련 산업(petconomy)이 크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려동물 가구 증가, 유통가 “펫팸족 잡아라”(출처: 부산MBC, 유튜브)
반려동물의 역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물론 지금의 반려동물의 개념과는 다른 ‘애완동물’의 수준이었을 것으로 차이가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조선 시대 임금님이 사시는 궁궐에서도 애완동물이 길러졌다. 성종, 숙종, 숙명공주와 폭군 연산군까지 개와 바카라 꽁 머니를 무척 아꼈다고 한다. 임금님의 애완동물의 종류도 다양하였고 심지어 코끼리를 길렀다는 태종의 이야기도 기록에 전해지고 있다.
이익의 성호사설(星湖僿說)에는 조선의 임금님 중 가장 유별난 동물 사랑을 보여준 성종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성종은 동물을 좋아하였으며 그 종류도 가리지 않았으며 원숭이, 앵무새, 백조, 공작, 노루 사슴 개, 바카라 꽁 머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많은 동물들을 궁궐에서 길렀다고 한다.
바카라 꽁 머니에 대한 사랑이 지극하였던 숙종의 이야기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고 있는데, ‘금묘’라는 이름의 바카라 꽁 머니는 숙종이 직접 먹이를 먹이며 식사도 함께하였다고 한다. 정사를 돌볼 때도 품에서 놓지 않아 후궁들이 질투할 정도로 금묘에 대한 사랑이 지극하였다. 금묘는 숙종이 승하하자 먹이를 먹지 않고 13일 만에 죽게 되어 숙종의 묘 옆에 비단옷을 입혀 묻어주었다고 한다.
조선 시대 민화 속 바카라 꽁 머니
민화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와 염원을 담고 있는 대중적 예술로 우리 민족의 감성이 잘 표현 된 그림이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유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는 민화를 속화(俗畫)로 기록하고 있다. 서민의 감성을 담고 있는 민간 회화는 문인들의 전통 산수화와 다르게 평가절하 되었던 것이다. 민화라는 용어는 일본의 야나기 무네요시(Yanagi Muneyoshi)가 값싸게 판매되는 ‘오오츠에’를 지칭하며, ‘불가사의한 조선의 민화’라는 글에서 처음 명명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민화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명확한 기록은 없지만 고구려 벽화로부터 시작하였다고 추측하고 있다. 고려시대에도 민화적으로 표현된 그림이 있었으나 지금은 불화(佛畫)에서 일부 찾아볼 수 있을 뿐 오늘날에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
현대에 전해지는 민화의 대부분은 조선 후기의 작품들이다. 민화는 평민에서 왕족까지 민속적인 관습과 생활공간을 장식하기 위해 그려진 실용화로 번성하였다. 그림은 병풍이나 족자로 제작되어 서당, 사찰 등에 걸렸으며 혼례식 같은 의례 때도 쓰였다. 민중의 생활철학, 감정, 미의식 등이 지배계급인 사대부에 의해 표출되지 못하였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계급사회 붕괴, 실학사상의 융성과 경제 발전, 현실 위주의 의식전환 등을 통해 전통적인 미의식이 민화로 표출되었다. 현세의 행복과 장수를 기원하고 종교의 간접적 표현까지 담아내며 민중의 생활을 밀접하게 표현하고 있다.
조선 시대 민화 속 바카라 꽁 머니는 고양이를 한자로 표기한 묘(猫)가 70세 노인을 뜻하는 ‘모’와 음이 비슷하여 장수를 의미하는 화재(畫材)로 선호되었으며, 수호신을 상징하여 벽사(辟邪)와 장수의 부적으로 사용되었다. 고양이만을 단독으로 그린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다른 화재와 함께 그렸다. 고양이와 함께 그린 화재는 꽃, 새, 나무. 벌레, 개 등 다양하다. 대표적인 예로 참새, 까치 등 새와 함께 그린 고양이 민화 〈묘작도(喵雀圖)〉가 있다. 묘작도는 변상벽(卞相璧)의 대표 작품으로 나무 위로 오른 고양이에 놀란 참새의 모습이 생동감 넘치고 생생하게 잘 묘사되어 있다. 작은 참새는 한자로 작(雀), 발음이 벼슬을 뜻하는 작(爵)과 같아 ‘오랫동안 벼슬자리에 있으라는 뜻으로 참새와 고양이를 함께 그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변상벽의 〈묘작도(猫雀圖〉(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이처럼 조선 시대 민화 속 바카라 꽁 머니는 꽃, 나비, 풀벌레, 꿀벌과 함께 그려진 작품들이 많다. 18세기에 활약한 변상벽은 화원(畵院)의 화가로 인물과 동물 그림을 잘 그렸으며 특히 닭과 고양이를 즐겨 그렸다고 한다. 대표적인 고양이 그림에는 〈국정추묘도(菊庭秋猫圖)〉, 〈묘접도(猫蝶圖)〉, 〈화조영모어해도(花鳥翎毛魚蟹圖)〉 등이 있다. 김홍도가 그린 〈황묘농접도(黃廟弄蝶圖)〉는 패랭이꽃, 노란 고양이와 긴꼬리 제비나비를 함께 그려 고양이가 나비를 놀리는 장면을 묘사하였다. 이 그림은 환갑을 축하하기 위해 그린 것으로 추정되고, 고양이는 70세 노인을, 나비는 80세 노인을 상징하며 패랭이꽃은 청춘을, 바위는 불멸을 나타낸다. 장승업의 〈화조영모어해도〉의 고목, 장미, 꿀벌과 함께 반백·반흑의 고양이는 장춘백두(長春白頭)를 나타내며 부모님의 부귀장춘(富貴長春)과 사계평안(四季平安)을 빌고 있는 것이다.
장승업의 〈화조영모어해도(花鳥翎毛魚蟹圖)〉(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반백·반흑의 바카라 꽁 머니(오늘날 턱시도 바카라 꽁 머니)
민화 속 바카라 꽁 머니, K-Culture로의 재탄생
조선 시대의 바카라 꽁 머니 민화는 종종 문화상품을 제작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제작한 ‘오묘한 녀석들’이 있다. 국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조지운의 〈유하묘도(柳下猫圖)〉를 국립박물관 문화재단에서 문화상품으로 개발한 것이다. 〈유하묘도〉는 버드나무 아래에 다섯 마리의 바카라 꽁 머니와 기쁨을 뜻하는 까치를 함께 그려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그려진 그림으로 많이 알려진 친숙한 민화이다. 원작의 전통적인 색감을 최대한 유지한 바카라 꽁 머니 그림을 프린트하여 만든 티셔츠와 문구류 상품이 대표적이며, 바카라 꽁 머니를 만들어 보는 종이접기 DIY 상품과 퍼즐도 판매되고 있다. 김홍도의 〈황묘농접도〉와 변상벽의 〈묘작도〉에 등장하는 바카라 꽁 머니를 현대적인 컬러로 재현한 엽서도 있다. 민화를 통해 가족의 행복과 평안을 기원했던 우리 조상들의 염원을 담은 캘리그래피와 함께 봄날의 아련한 느낌으로 제작한 엽서가 문화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오묘한 녀석들 아동용 티셔츠〉(출처: 국립박물관재단)
〈유하묘도 데코 스티커〉(출처: 국립박물관 뮤지엄샵)
필자도 조선 시대 바카라 꽁 머니 민화 중 조지운의 〈유하묘도〉의 바카라 꽁 머니를 활용한 다양한 패션제품을 만들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바카라 꽁 머니 민화는 한두 마리의 바카라 꽁 머니를 새, 꽃, 나무 등과 함께 그렸으나, 〈유하묘도〉에서는 무늬와 색이 다른 다섯 마리 바카라 꽁 머니를 다양한 모습으로 화폭에 담고 있다. 다른 민화 작품보다 바카라 꽁 머니의 캐릭터를 추출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선택하였다.
민화 속 다섯 마리의 바카라 꽁 머니를 각각 4가지 캐릭터로 디자인하였고 전통적인 바카라 꽁 머니의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 얼굴 표정과 외곽선은 원본의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20가지의 바카라 꽁 머니 캐릭터를 혼합하여 다시 텍스타일에 적합한 모티브로 디자인하였다. 명쾌한 느낌이 들도록 채도와 명도가 높은 색을 사용하고 전통적인 바카라 꽁 머니 캐릭터를 강조하기 위해 오방색으로 채색하여 전통적인 한국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표1. 민화 속 고양이 캐릭터 디자인 과정
캐릭터는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캐릭터들을 반복·혼합하여 다양한 모티브를 만들 수 있다. 20가지의 캐릭터를 조합하여 누구나 독창적인 모티브를 만들 수 있도록 제안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모티브는 간단하게 반복·배열하여 다양한 텍스타일로 추가 개발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한 것이다.
특히 바카라 꽁 머니 캐릭터는 현대적인 동물 캐릭터 디자인과는 시각적으로 차별화되고 있으며, 우리 민족의 정서와 전통성을 표현하고 있다. 이런 한국적인 바카라 꽁 머니 캐릭터를 현대적 감각으로 변용하여 아래와 같이 실용적이고 독창적인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제안해 본다.
표2.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과정
고양이는 귀엽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로 캐릭터화되어 오래전부터 활용되고 있다. 일본에는 행운을 부르는 유명한 고양이 ‘마네키네코’가 있으며, 대만에는 고양이 마을로 유명한 관광지인 ‘허우통(侯硐)’이 있다. 고양시는 마스코트로 고양이 캐릭터 ‘고양고양이’를 제작하고, 홍보 활동과 SNS 소통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관광기념상품 제작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전통과 연결된 동물 캐릭터의 활용도는 낮다.
고양시청 캐릭터 〈고양바카라 꽁 머니〉(출처: 고양시청)
민화 속 바카라 꽁 머니와 활용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아주 작은 시작에 불과하다.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예술성을 잘 표현하고 있는 문화재와 미술작품을 활용하여 상품화한다면 관련 시장을 국내·외로 확장하고 K-Culture의 전통성과 독창성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