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 2회 콜로퀴엄’ 개최 작성일 : 2024-11-25 17:17
- 첨부파일 a1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 2회 콜로퀴엄’ 개최.jpg (230.26 KB)
- 첨부파일 a2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 2회 콜로퀴엄’ 개최.jpg (175.71 KB)
- 첨부파일 a3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 2회 콜로퀴엄’ 개최.jpg (294.81 KB)



이해영 교수, ‘다중언어 멀티모달 소통 생태계의 도래와 한국어교육’ 주제
호남인터넷 바카라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는 11월 22일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책임교수 윤영) 2단계 3차년도 사업의 일환으로 ‘제 2회 콜로퀴엄’을 개최했다.
이번 콜로퀴엄은 세종학당재단 이사장을 역임한 이해영 교수(이화여자인터넷 바카라교)를 초청, ‘다중언어 멀티모달 소통 생태계의 도래와 미래를 여는 한국어교육’을 주제로 호남인터넷 바카라교 한국어교육원 한국어교원 및 연구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한국어 교실에 펼쳐진 다중언어 멀티모달(multimodal) 환경의 현주소와 한국어교육이 열어가야 하는 미래 방향성에 대해 강연을 진행했다.
이해영 교수는 문화적 배경이 다양한 학습자들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앱, SNS, AI 등 다양한 모드와 상호작용하며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멀티모달 환경의 한국어교육 현장을 소개하면서, 텍스트와 음성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의사소통 중심 접근은 디지털화되고 다중언어·다중문화 기반의 현대 사회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므로 다양한 양식을 결합하여 언어를 배우도록 하는 멀티모달 역량(텍스트, 이미지, 소리 등 다양한 모드를 결합한 소통)이 강조되는 시대가 되었음을 설명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이 공공 영역을 비롯하여 지역사회 및 경제생활 영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해력의 범위를 확장, 다양한 디지털 도구와 다중양식 활용 능력도 포함해야 하며, 한국어 교수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는 매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세종학당 우수학습자 사례를 보면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류 소비자에서 전문가, 생산자로 성장하고 있고 한국어·한국문화 향유 방식이 빠른 속도로 변화되고 있는데 ‘내가 너무 안일했구나’하는 반성과 함께 멀티모달 역량을 향상을 위해 멀티미디어 매체와 친해져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호남권 사립대 가운데 유일하게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된 호남인터넷 바카라교는 ‘초연결 사회에서의 인문학적 리터러시 능력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 연구’를 주제로 2019년부터 국비를 지원받아 1단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022년 9월 2단계에 선정되어 2025년 8월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